[프레스룸] 해킹당한 디지털 지갑, 블록체인 기술로 복원

2020. 5. 28

CLIPBOARD
image_pdf

 

정지석 코스콤 사장(사진 오른쪽)과 정기욱 트러스트버스 대표(사진 왼쪽)가 28일 여의도 코스콤 본사에서 디지털금융 블록체인 기반 기술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마스터키’ 서비스로 디지털 자산 사고 시 회수·복원 가능
코스콤 금융클라우드로 개인 디지털 자산 보호
RegTech 기술로 디지털 자산시장 투명성 제고

 

□ 앞으로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 DID1)등의 디지털 자산이 해킹을 당하거나 스마트폰 분실로 훼손되어도 복원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코스콤(사장 정지석)은 핀테크 스타트업 트러스트버스(사장 정기욱)와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을 구축하고 디지털 자산관리 영역에서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 코스콤과 트러스트버스가 협력해 개발할 디지털 자산관리 서비스 명칭은 ‘마스터 키(The Master Key)’다.

□ 스마트폰 등의 분실로 기기 내부의 디지털 지갑(디지털 월렛)에 보관해 놓은 문서·음원저작권·DID등 모든 디지털 자산에 접근이 불가능해질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이를 복원해주는 서비스이다.

1) DID (Decentralized Identity)
–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신원증명 기술. 중앙기관이 아닌 개인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며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필요한 정보만 선택해 제출할 수 있음. 향후 모바일 기반 디지털 신분증으로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고객들이 ‘마스터 키’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는 디지털 월렛(서비스명 : Mars)이 생성이 되고, 마치 자동차의 차대번호처럼 암호화된 월렛의 고유 키 값이 코스콤 금융클라우드 내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된다.

□ 이후 ‘마스터 키’ 서비스를 활용해 분실복원서비스를 신청하게 되면, 본인인증을 거쳐 키 값을 복구하고, 블록체인 분산저장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월렛을 복원할 수 있게 된다.

□ 이를 위해 코스콤은 디지털 월렛 실소유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본인인증 서비스를 연결하고, 개인정보 등 민감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울타리 역할을 할 금융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한다.

□ 트러스트버스는 삼성전자의 블록체인 파트너로서 ‘마스터키’ 내 블록체인 기반 복원 솔루션을 구축하고, 삼성전자의 블록체인 키스토어 기반 삼성 월렛도 함께 지원하여 디지털 월렛을 복구한다.

□ 특히 트러스트버스는 해외 법인으로 기존 글로벌 벤더의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국내 블록체인 분야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금융 분야에 특화된 코스콤 금융클라우드로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 개인과 기관들은 ‘마스터 키’를 활용해 디지털 자산의 해킹 등에 대비할 수 있고, 앞으로 다양해질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금융클라우드를 마치 디지털 개인금고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또한 디지털 자산시장의 투명성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클라우드 내부에서 디지털 월렛의 주요정보가 유통·보관되는 만큼 감독당국의 정책방향에 따라 향후 불법자금 유통을 예방할 수 있다. 지난 3월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일부 개정되면서 디지털 자산을 투명하고 안전하게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정기욱 트러스트버스 대표는 “블록체인과 AI를 활용해 유네스코와 글로벌 기부 플랫폼을 구축중인데 이어 코스콤과 디지털 자산관리 영역의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정지석 코스콤 사장은 “블록체인이 단순 암호화폐를 만드는 기술이라는 세간의 부정적인 인식을 넘어 금융시장의 건전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 저작권법에 의하여 해당 콘텐츠는 코스콤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따라서,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