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gnite의 글로벌 자본시장 API 생태계

2018. 5. 24

CLIPBOARD
image_pdf

정성욱 코스콤 기술연구소 R&D부 과장

 

1. Xignite 개요

 

❑ 근래 핀테크 열풍과 함께 클라우드 시대의 자본시장 API 리더로 급부상

○ (개요) 2000년 설립 이래 최근 글로벌 주요 핀테크 스타트업 다수를 고객으로 유치하며 급성장의 발판을 마련
– 전세계 자본시장과 시장참여자를 단일 규격화된 API(650+)로 연결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 1000곳 이상 고객사의 요청을 월 2500억 건 처리, 99.95% 가용성

○ (성공요인 1) 클라우드 상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제공
– 전세계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주식(120만 종), 펀드(25만), ETF(6,500), 채권(350만), 파생(500만), 외환(27만) 등 투자가능한 대부분 자산의 실시간 및 과거 시세 정보 커버
– 또한 각 종목과 관련한 공시, 뉴스, 상장 정보, 기관투자자 보유 내역 등 제반 기초 자료도 함께 제공

○ (성공요인 2) 유수의 글로벌 핀테크 기업의 성장과 더불어 서비스를 확장하며 오픈API시대의 자본시장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
– Wealthfront, Personal Capital, Robinhood를 비롯하여 시장에 거명되는 상당 수 유망 핀테크 기업이 동사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업 영위

○ (특이동향) 미국 핀테크 샌드박스에 Data Partner로 참여중 (2015~)

❑ (아키텍처 특징) 온디맨드 스타일의 MDP 서비스 제공을 위해 AWS 클라우드를 채택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고성능 실시간 처리에 유연하게 대처

○ (물리 아키텍처) AWS 채택으로 전세계 자본시장을 지리적 거리감 없이 24×365로 연결하고 BATS 등의 시세는 코로케이션 급으로 빠르게 분배

 

 

○ (메시징 처리 아키텍처) 데이터가 생산되는 곳에서 소비되는 곳까지 유연하게 연결하고 필요한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many-many(다對다) 방식을 many-one(Xignite)-many 방식으로 효율화
– (메시징 전문 규격) 입수단계에서 각 출처마다 상이했던 데이터를 JSON 포맷으로 규격화하여 http/https 기반으로 REST/SOAP 방식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인프라 플랫폼 유형에 구애받지않고 가공 등 변환에 매우 유리
* 최고의 성능을 요하는 Low-latency와 달리 효율성에서 가치를 찾는다고 봐야 타당
– (Data Provider) 주요 거래소의 시세 데이터 및 Moodyz, FACTSET, 모닝스타 등이 생성하는 시장 참조 데이터 연계 제공
– (Data Aggregator) 블룸버그, 톰슨로이터 등 상용 정보 벤더 연결
* 블룸버그 데이터는 공식 distributor 지위로 제공
– (Data Comsumer) 증권사, 기관투자자 등 잠재 고객이 표준 API로 시장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문을 처리하고 리스크/컴플라이언스 등 매매사후처리업무 수행도 용이

 

 

2. Xignite API, 핀테크 스타트업 혁신의 기반

 

❑ Robinhood와 같은 無수수료 정책 브로커 등장의 원동력

○ 시세 API(XigniteGlobalMaster)를 활용하고 차별화 서비스에 집중
– 2015년에 설립된 Robinhood는 Xignite API를 단일 접점으로 활용하여 신생 증권 브로커 입장에서 여러 거래소 및 유관기관과 각각 연동하는 부담을 덜고 시세 연동 주문앱을 빠르게 개발하며 고객을 흡수하고 있음
* 최근의 파괴력은 흡사 90년대말 급성장한 온라인 브로커 E*TRADE가 연상될 정도
– 오픈API 인프라 활용은 개발 기간도 단축하고 장기적 운영부담을 줄여 그 역량을 차별화된 IT서비스 개발에 투입 가능
* Robinhood는 혁신적 UI(애플 디자인상 수상), 프리미엄 대차거래 서비스 Gold 등 차별화된 IT 기반 금융서비스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음

 

 

❑ Betterment, Personal Capital, Wealthfront 등 신생 온라인 자산관리서비스의 성장 촉진

○ 펀드정보 API (XigniteGlobalFundFundamentals) 활용으로 지리적 접근성 확대
– 펀드정보사 모닝스타와 제휴로 전세계 29만 개 이상의 펀드 정보를 지역별, 국가별로 조회
– MMF, 채권형, 주식형 등 펀드 유형을 식별하거나 사모/집합펀드, 신탁, 연금 등 투자자 유형이나 투자목적 등에 따른 정보도 제공
– ISIN코드 등 국제표준 식별자를 통한 펀드 편입자산 정보 추적 및 펀드 운용 성과 조회/비교

○ 이들 온라인 자산관리자들은 Xignite의 IT 인프라와 모바일 전략을 기반으로 모던포트폴리오이론 등에 따른 자산배분전략 실행에 주력
– 그 결과 기존 연 2%까지도 달하던 자산관리 수수료를 1% 미만으로 낮추어 제공하고 초부유층 대신에 대중부유층을 공략하며 핀테크 시대의 대표 자산관리자로 성장하고 있음
– (예시)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로 급성장한 스타트업 Betterment

 

 

❑ 홍콩 소재 스타트업 8 Securities(브로커 + 자산운용 형태) 관심 대두

○ Xignite의 API를 이용하여 15,000개 홍콩시장 종목 및 미국 시장 등 전세계 자산에 투자가능한 브로커 서비스 및 로보어드바이저 방식의 자산관리 서비스 동시 제공
– (Goal Based Investing) 결혼, 주택구매, 휴가계획 등 개인 생애자산주기에 따른 투자비중, 투자기간과 기대수익률 등 목표를 설정하는 전략으로, 동사 로보어드바이저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에 따라 자산을 배분하고 운영
– (이용조건) 트레이딩 부문은 현재 프로모션으로 완전무료 상태이며, 자산관리 부문은 최소 투자금 1,000 홍콩달러에 8,888 이하는 무료, 초과시 연간 0.88% 자산관리수수료 부과

○ (비고) 최근 노무라자산운용과 제휴를 맺고 2500만 달러 투자 유치

 

3. Xignite의 Data로 Analytics 가치창출

 

❑ (Madrone) 펀더멘털 API에 머신러닝 기법으로 포트폴리오 최적화

○ 성과가 우수한 상위 15% 매니저가 전체 자산의 80%를 관리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효율적 포트폴리오 관리 방법 구현
– 자산관리자 스스로도 모르던 성공투자의 기법을 포트폴리오 관리 플랫폼 Root에 녹여내어 시장 여건에 따라 자산관리자 주관보다는 시스템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 기존 정량적 리서치 업무에 머신러닝과 의사결정과정을 결합하여 자본을 적절히 배분하고 대처역량을 향상시킴
– 기업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팀 전체 성과 개선 가능
– (예시) 포트폴리오의 익스포져와 수익률을 보여주는 차트

 

 

○ 과거시세(XigniteGlobalHistorical) 및 펀드정보(XigniteGlobalFundamentals) API로 머신러닝용 기초 자료 추출
– 글로벌 40개 시장의 종목 기초정보를 추출하여 머신러닝 방식으로 자동화된 펀더멘털 분석에 활용
– 포트폴리오에 노출된 총 위험자산 비중, 주주구성 및 내부자 거래정보, 종업원 수 변화, 종목의 매출액 변화 등을 토대로 분석하는 것으로 이해됨
* 18.04.30자로 Solovis사에 피인수 된 것으로 보임

 

❑ (Derivitec) Xignite의 옵션정보 API에 자사 고유의 프라이싱 모델을 결합하여 옵션 종목의 적정가치 평가 분석에 활용

○ 옵션정보 API (XigniteGlobalOptions)로 글로벌 주요 옵션거래소 시세 접근
– 미국은 실시간 호가, 그 이외 지역은 지연 호가
– 복수 종목 동시 조회 및 옵션 기초자산(XigniteGlobalMaster) 정보 확인
– 블랙숄즈 모델을 활용하여 옵션 프라이싱 계산

○ (예시) 개별 주식옵션에 대한 변동성 분석 활용

 

 

❑ (Money.net) 종합 시세분석 단말의 대중화로 블룸버그의 아성에 도전

○ 종목의 시세에서부터 차트, 분석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한 화면에서 보여주는 종합 단말 서비스로 Xignite API를 종합 활용하는 것으로 보임
– 데스크톱 단말 기능(블룸버그 연상), 엑셀 및 전문 수치연산 프로그램 Matlab 등을 연동 제공
– 유료고객 8만명(NYTimes 17.11.30)을 확보하며 시세 단말의 대중화 선도

○ 트레이딩 전략 수립에 필요한 고급 분석을 지원
– (예시) 날씨가 에너지 산업, 자동차 제조업, 식품 물류, 국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 가능

 

 

4. Notes

 

❑ (해외) Xignite 사례와 같이 오픈API는 핀테크 생태계를 이끌며 스타트업이 아이디어를 빠르게 비즈니스로 구현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음

○ Data & Analytics 생태계의 힘 : 클라우드와 오픈API 채택으로 표준화 및 개방화 추구로 타사 서비스와 융합에 유리한 환경이 가능해졌고, 핀테크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밸류체인이 형성되고 있음

 

 

– Forbes Fintech 50 기업 모두가 AWS를 도입한 것은 우연이 아닌 필연이며, 동일 플랫폼 활용으로 핀테크 스타트업 상호간의 연계 편의성은 물론 AWS가 제공하는 AI용 SW인프라 기술도 쉽게 활용 가능

 

○ (참조) BBVA 은행은 고객의 금융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부가가치 영역을 확대하려 시도하고 있음

 

 

❑ (국내) 당사는 금융서비스 혁신을 위해 금융기관과 핀테크 기업 및 여러 데이터를 API로 연결하는 자본시장 공동 핀테크 오픈플랫폼을 운영중

○ 증권사를 비롯하여 카드사, 신용평가사 등 기존 금융 인프라를 토종 핀테크 기업과 단일 접점에서 양뱡향으로 연결

 

❑ 한편,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데이터 취합 및 제공 또는 분석에 관한 법률적, 윤리적 이슈가 부각되고 있어서 데이터 활용시 특히 개인정보를 활용하거나 인공지능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때에 더 엄격한 기준이 요구되고 있음

○ EU에서는 GDPR 제도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 주체가 개인에 있음을 강조하며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기관에 대해 엄중한 책임 요구
– GDPR 위반시 2000만 유로 또는 글로벌 매출액의 4%까지 벌금 부과

* 최근 페이스북 고객 정보 유출의 당사자인 데이터분석 업체 영국의 Cambridge Analytica는 여론의 뭇매에 못이겨 최근 자진 폐업 선언 (GDPR과 직접적 관련은 없음)

○ 영국 상원에서 AI윤리를 거론하며 개인정보 및 빅데이터를 분석·활용하는 AI 기술개발에 있어서 사람 중심의 기준선 제시
– AI는 인류의 공영과 이익을 위해 개발되어야 할 것
– AI는 명료하고 공정하게 작동되어야 할 것
– AI가 사생활 침해를 해서는 안 될 것
– AI시대 시민의 행복추구권이 우선되어야 할 것
– AI가 인간을 해쳐서는 안 될 것

 


 

고지문

본 동향 자료는 신뢰할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또한 본문에 기재된 내용은 관점이나 해석 등의 차이로 인하여 다소 다르게 전달될 수도 있다는 점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이용자께서는 스스로의 책임과 판단으로 본 자료를 참고하시고 필요시에는 내용의 진위 여부를 반드시 직접 재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본고에는 필자 개인의 주장과 견해가 포함되어 있으며 당사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저작권법에 의하여 해당 콘텐츠는 코스콤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따라서,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