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N뉴스

2023 챗GPT가 가져온 변화와 글로벌 금융권의 대응

  글. 김남훈(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챗GPT로 촉발된 생성형 AI 열기가 뜨겁다. 챗GPT를 응용한 플러그인들이 나오고 글로벌 대기업들도 초거대 AI서비스를 경쟁적으로 내놓으면서 본격적으로 실생활에서 AI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갑작스럽게 다가온 초거대 AI를 마냥 긍정적으로 보기에는 아직까지 고용,...

초개인화 시대의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 다이렉트 인덱싱

  글. 김홍곤(KB자산운용 인덱스퀀트 운용본부장) | 다이렉트 인덱싱의 등장 투자자 및 개인이 본인의 투자철학을 반영해 테마, 업종, 지수 등을 대상으로 지수(포트폴리오)를 직접 구성하는 것을 다이렉트 인덱싱이라고 한다. 따라서, ‘다이렉트 인덱싱 솔루션’이란 초개인화 시대에 맞추어 고객이 스스로 맞춤형 지수(포트폴리오)를 편리하게 구축 및...

2023 금융 서비스 혁신을 위하여

  글. 김영석(퓨어스토리지 상무) 최근 비금융 IT 회사들이 주도한 금융혁신으로 금융 산업의 구조 및 생태계가 변화하면서 전통 금융회사들의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디지털 기술들이 있다. 이러한 방향성 속에서 올 한해 금융회사는 ▲내·외부 데이터를 통합·분석하는 분석기술 및 역량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로딩 중

해외 혁신적 금융서비스 사례와 시사점

글. 이성복(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 미흡한 국내 핀테크 기업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핀테크 혁신을 위해 금융당국, 금융업계, 핀테크 업계 모두가 숨 가쁘게 달려왔다. 지난 5년여의 시간을 되돌아보면 해외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속도는 어느 국가보다 빨랐다고 평가해도 과하지 않다. 예를 들어, 2020년 6월말 기준으로...

CIAM의 필요성과 필수기술

글. 김선애 기자(데이터넷)   넷플릭스 계정 공유가 불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는 그동안 계정 공유를 통제하지 않았는데, 후발주자들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신규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된 것도 중요한 요인이지만, 고객들의 계정정보 보안을 위해서 계정공유를 제한해야 한다는 고민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계정 공유는 많은 보안 사고를 일으킬...

AI 법제도 정비과제 로드맵

글. 신용우(법무법인 지평)   최근 인공지능(이하 AI)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경제・사회 전반에서 변화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여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중국 등 주요국들은 AI 기술 선점을 위하여 국가 차원의 정책 및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AI 기술은 데이터 기계학습에 기반하고 있어 불확실성과...

5G가 여는 3초시대 ‘초고속·초연결·초안정’

지난 4월 SKT에서 세계최초 5G 론칭을 선포하면서 5G 상용화의 시대가 열렸다. 화려한 런칭 행사와 함께 이동통신사들에서 경쟁적으로 5G 상품 출시와 공격적인 마케팅을 시행하고 있다. 5G 시대가 도래했다고 하는데 5G 기술이 어떤 것이고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를 줄 수 있을지 알아 보자.   5G의 정의와 5G 상용화에 모두가 주목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융시장의 IT투자전략 변화

    글. 이태우 전무(IDC Korea)   코로나19 팬데믹이 금융시장에 주는 교훈 ‘부드러운 바다는 숙련된 선원을 만들지 않는다’라는 아프리카 속담이 있다. 2008년 금융위기에서 우리는 이 속담의 의미를 이미 경험했다. 2008년 이전에는 핀테크∙빅테크가 금융회사의 경쟁자가 아니었다. 금융회사의 IT는 금융회사 전략을...

명령이나 지시 없이 행동을 유도하는 넛지의 힘! SMART40

    코스콤은 디지털 혁신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직문화 혁신을 위해 2020년부터 SMART40 챌린지를 시작했습니다. 지킬 건 지키고, 버릴 건 버리는 코스콤 공존의 원칙, 워크 스마트! 업무의 효율성과 몰입도를 높이는 SMART40에는 ‘넛지(Nudge)’라는 핵심원리가 담겨있습니다. 지금까지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코스콤의...

공인인증서를 대신할 미래 인증 방식, 대체인증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5년 3월, 공인인증서 의무화 조항 폐지 후 다양한 방식의 대체인증 수단이 공인인증서를 대신하고 있다. 생체 인증을 비롯해 ARS/SMS 인증, 폰 OTP 인증, IC 태깅 인증 등 여러 방식 가운데 가장 뚜렷하게 진화해온 인증 방식은 단연 생체 인증이었다. 지문, 홍채, 얼굴에 이어 행동 인식까지 등장했다. 이같은 대체인증 기술 진화는 블록체인을...

로딩 중

코스콤의 소식을
뉴스레터로 받아보세요